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정 10주년 기념 국제 장애여성 컨퍼런스
<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의한 장애여성과 장애소녀의인권 증진>
국제 컨퍼런스 개요 |
|||||
1. 행사개요 | |||||
일시 | 2016년 10월 18일(화)~19일(수) 9:00~ | ||||
장소 | 서울 여의도 글래드호텔 (9호선 국회의사당역 4번출구) | ||||
주최 | 장애여성문화공동체 | ||||
공동주최 | International Disability Allance
성균관대학교ODA센터 장애인법연구회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 |
새누리당 나경원의원
국민의당 박주현의원 더불어민주당 우창윤서울시의원 |
|||
후원 | 주한미국대사관
법무법인광장 서울특별시 |
국가인권위원회
외교통상부 여성가족부 |
|||
대상 | 장애인 및 장애인단체, 공무원, 전문가, 학생 및 일반시민 등 | ||||
2. 프로그램 개요 | |||||
첫째날 | |||||
9:00~10:00 | 등록 및 접수 | ||||
10:00-10:00 | 개회식 | ||||
11:0-12:00 | 기조강연
사회 : 조원희 태평양(유한) 변호사 |
||||
• UN CRPD 제6조 제정 과정과 의의
김미연 장애여성문화공동체 대표 |
|||||
•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정 10주년과 장애여성 인권의 의미
데레시아 데게너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위원장 |
|||||
• 미국장애인법의 이행과 모니터링 기구
주디스 휴먼 미국무부 국제장애인인권 특별보고관 |
|||||
• 장애여성의 역량강화와 국제활동 – WILD
수잔 시걸 MIUSA대표 |
|||||
12:00-13:30 | 점심 | ||||
13:30-18:00
|
워크샵1. UN CRPD와 장애여성,장애소녀
사회 : 패트리샤 게디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|
||||
• UN CRPD 제6조 장애여성 조항에 관한 일반논평 해설과 논의
데레시아 데게너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위원장 |
|||||
• UN treaty를 통한 장애여성 권리의 매핑
빅토리아 리 국제장애연맹 인권 담당관 |
|||||
• 교차차별과 장애여성
류민희 희망을만드는법 변호사 |
|||||
• 토론 | |||||
18:30-20:30 | 장애여성 리더 간담회 및 만찬 | ||||
둘째날 | |||||
9:00-12:00 |
워크샵2. 각 국가별 유엔장애인권리협약 병행 보고서 이행현황 및 경험소개
사회 : 이지은 변호사 |
||||
• 카린 스위프트, 호주, 호주장애인연합대표 | |||||
• 정재은, 한국,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사 수료 | |||||
• 리자 마르티네즈, 필리핀, 청각장애리소스센터 | |||||
• 게럴 돈도브도르, 몽골, 시각장애연맹 대표 및 변호사 | |||||
• 샤왈락 쏭콰이, 태국, 장애여성포텐셜임파워먼트협회 | |||||
• 티카 다할, 네팔, 장애연맹 부대표 | |||||
• 유키코 미우라 카츠마타, 일본, 인구사회보장연구소 | |||||
• 엔구엔 타이 란 안, 베트남, 커뮤니티개발센터 과장 | |||||
• 자하다 카릴, 레바논, 아랍장애인연합 사무총장 | |||||
12:00-13:00 | 점심 | ||||
13:00-14:30 | 워크샵 3: 병행 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전 연습 워크샵
사회 : 빅토리아 리 국제장애연맹 인권 담당관 |
||||
15:00-18:00 | 향후 10년을 위한 세계장애여성의 전략 논의 | ||||
18:00 | 선언 및 폐회식 |
<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의한 장애여성과 장애소녀의 인권 증진>
참가자 소개 |
||
김미연, 한국
– 장애여성문화공동체 (Women with Disabilities Arts and Cultural Network) 대표 – 장애인법연구회 이사 – 유엔장애인권리협약NGO포럼 위원장 |
||
주디스 휴먼, 미국
– 미 국무부 국제장애인인권특별보좌관 |
||
데레시아 대게너, 독일
–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 부위원장 |
||
넬리 칼렙, 바누아투
– 국제장애연맹 (International Disability Alliance) 이사 – 태평양 장애인 포럼 (Pacific Disability Forum) 의장 |
||
수잔 시걸, 미국
– 국제 모빌리티 재단 (Mobility International USA) 공동설립자 겸 대표 |
||
카린 스위프트, 호주
– 호주장애여성단체 대표 권한대행 |
||
자흐다 카릴, 레바논
– 아랍 장애인연맹 총재 |
||
빅토리아 리, 호주
– 국제장애연맹(International Disability Alliance) 인권담당관 |
||
게럴 돈도브도르, 몽골
– 몽골시각장애연맹 대표 – 몽골인구개발및사회복지부 장애정책자문위원 – 몽골 교육노동부 내 장애정책자문위원 – WBU-Asia Pacific 북동아시아 지역 의장 |
||
샤왈락 송콰이, 태국
– 아시안 장애 포럼 – 장애여성 잠재 능력 임파워먼트 협회장 |
||
유키코 카츠마타
– 일본 인구사회보장연구소 정보수집및분석 부처 과장 |
||
그레이스 최, 미국
– 미 국무부 국제여성 정책보좌관 |
||
오드리 리, 말레이시아
– 국제여성권리행동감시 프로그램 담당 |
||
알레산드라 아레스, 이탈리아
– 핸디캡인터내셔널(Handicap International) 중국지부 담당 |
||
티카 다할
– 네팔장애연맹 부대표 – 네팔장애여성연합 창립 부대표 및 수석고문 |
||
샤리타 라믹한, 네팔
– 네팔 장애여성 활동가 |
||
리자 마르티네즈, 필리핀
– 필리핀 청각장애 리소스 센터 설립자 |
||
엔구엔 타이란안, 태국
– 커뮤니티 개발센터 |
||
구미코 후지와라, 일본
– 국제장애인연맹 일본여성네트워크 의장 |
||
게이코 카노, 일본
– 간사이대학교 소셜워크 교수 |
||
마미 고이부치, 일본
– 국제장애인연맹 Adv•cacy 센터 |
||
키미 나구모, 일본
– HANDS Setagaya |
||
우물 커, 인도
– 인도 장애여성 활동가 |
||
김통원, 한국
–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– 성균관대학교 ODA연구소 |
||
원재천, 한국
– 한동대학교 국제법률대학원교수 – 한동대학교 통일과평화 연구소 소장 |
||
패트리샤 게디, 미국
– 성균관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|
||
강은경, 한국
– 한국예술종합대학교 교수 |
||
주윤정, 한국
–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 |
||
정재은, 한국
–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박사 수료 |
||
임성택, 한국
– 장애인법연구회 회장 – 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– 사단법인 두루 이사 |
||
조원희, 한국
– 법무법인(유한) 태평양 변호사 – 법무법인(유한) 공익활동위원회 간사, 장애인분과위원회 위원장 – 재단법인 동천 이사 |
||
홍석표, 한국
– 법무법인 광장 변호사 – 공익활동위원회 간사 및 장애인 법률지원팀장 |
||
이지은, 한국
– 한국 및 뉴욕주 변호사 |
||
류민희, 한국
– 희망을만드는법 변호사 |